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럼피스킨병 이란? 럼피스킨병 백신접종까지 총 정리

by 쏠파파 2023. 10. 31.

럼피스킨병은 1929년 잠비아에서 처음 발견 되었으며, 2022년 인도에서는 15만 마리의 소를 폐사시켰을 정도로 심각한 전염성을 가진 가축전염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3년 10월 20일 충남 서산시에서 최초로 발생하였다고 하며, 현재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축전염병입니다. 그렇다면 럼피스킨병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림축산검열본부 바로가기

 

목차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럼피스킨병 이란?

    럼피스킨병은 소의 전신에 지름 2~5cm의 피부 결절(단단한 혹)이 나타나며, 우유생산량 급감, 침울, 식욕부진, 쇠약, 가슴 및 다리 등의 부종, 유산, 불임, 고열, 침 흘림, 눈과 코의 분비물 증가 등 심각한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가축 전염병이며,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가축질병입니다.

     

     감염 경로

    럼피스킨병 감염 경로는 주로 흡혈 파리, 모기, 진드기 등의 흡혈 곤충이며, 바이러스에 오염된 사료 및 물 등으로도 감염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공기를 통해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지는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럼피스킨병 폐사율 및 잠복기

    럼피스킨병은 소와 물소가 감염이 되며, 폐사율은 10% 이하입니다. 이는 백신 접종을 통하여 추가적인 확산에 대한 방어가 충분히 가능하며, 또한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가출 질병입니다. 잠복기는 통상 평균적으로 4일에서 14일이며, 최대는 28일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된 소 식용 여부

    럼피스킨병은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 가축질병이며, 사람이 감염된 소를 접촉한다거나,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큰 이상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럼피스킨병에 걸린 소는 안타깝게도 법에 따라서 살처분하게 되어 있으며, 럼프스킨병에 걸린 소를 유통시키게 된다 하면 병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법에 의하면 판매는 금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혹시라도 섭취를 한다 하더라도 사람은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큰 이상은 없으니 안심하셔도 되겠습니다.

     

    럼피스킨병 대처법 및 백신

    럼피스킨병의 대처법으로는 곤충 활동기 동안에는 매일 전두수를 꼼꼼히 관찰하고 소 농장 주변에 생기는 물 웅덩이를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분변 처리 및 흡혈 곤충들의 대한 방제를 실시해야 합니다.

     

    럼피스킨병의 예방 및 치료는 백신이 정답입니다. 하지만 백신접종을 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효과가 나타나는 게 아닌, 2~3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확산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방역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럼피스킨병 백신은 개발되어 있으며, 정부에서는 11월 10일까지 전국에 있는 모든 소에 대한 백신접종을 완료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농림축산검열본부 바로가기


    럼피스킨병은 사람에게는 이상이 없지만, 소에게는 정말 안타까운 전염병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이유는 럼피스킨병은 심각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염성을 막기 위해서라도 럼피스킨병에 노출된 소들은 살처분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백신이 이미 개발되어 있고, 정부에서 발 빠른 대처를 하여 전국에 모든 소들의 대한 백신을 완료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라 마음이 조금 안심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