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쥐어짜는 통증, 심근경색 증상은?
많은 사람들이 갑작스럽게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을 느끼며 고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체한 느낌이 지속적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70세 남성이 명치 부위에 체한 느낌이 호전되지 않고, 식은땀도 나자 응급실에 내원했다. 검사결과 급성심근경색으로 진단됐다. 응급 관상 동맥조영술을 시행하고 스텐트(혈관 확장용 금속 그물망 튜브) 삽입을 하고 중환자 실로 옮겨졌으며, 이는 응급실 의사가 흔히 경험하는 심근경색증의 환자 사례라고 한다.
심장은 크게 구분 지어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 활동을 실시한다.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관 연축(수축 및 이완)이나 혈전증에 의해 급작스럽게 막히게 되어버린 경우, 심장의 일부분, 혹은 전체적인 부분에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 및 세포가 괴사 되는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고 한다.
심근경색이라 함은 부위별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전벽,측벽,후벽,하벽 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 내 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검사 결과 기준으로는 ST(심전도 파장의 일종) 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심근경색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 가슴을 쥐어짠다 ‘ , ‘가슴을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낀다’ , ‘가슴이 답답하고 싸한 느낌이 든다 ‘ 등 여러 가지 증상이 있으며 이는 숨을 쉬기조차 힘든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혹은 이러한 증상을 느끼진 못했지만 ‘등 쪽으로 뻗치듯 아프다’ 또는 ‘턱끝이 아프다 ‘고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례처럼 흉통 없이 구토 및 체한 증상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고, 속이 쓰리며 소화가 안된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면 심장 근육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고지혈증이나 당뇨병 혹은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괴사 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는 안되었지만 혈관 내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이 생겼다면 협심증을 의심할 수 있다.
심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은 크게 고령, 흡연, 고혈압, 가족력, 당뇨병 등이 있으며 흉통유무, 심전도, 심근효소를 측정해 진단한다. 이와 함께 심장초음파 등을 보조적으로 시행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진단 및 치료를 고려하여 심혈관조영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응급검사로 심전도상 특이적인 변화가 동반되는 경우 심근경색증을 크게 의심할 수 있겠으며 특히 심전도에서 ST(심전도 파장의 일종) 절이 상승된 심근경색증의 경우 곧바로 심혈관성형술, 스텐트(혈관 확장용 금속 그물망 튜브) 삽입술, 혈전용해술 등이 필요하다. 혈액검사상 보통 심장의 특이적인 효소수치를 측정하여 수치가 상승되어 있는 경우 심근경색증을 크게 의심할 수 있다.
댓글